본문 바로가기

AI가 연구 계획 수립부터 탐색 및 결과 보고서 작성까지…구글, AI 리서치 어시스턴트 ‘딥 리서치’ 출시

반응형

논문 저자 목록에 AI가 들어갈 날이 머지않았다. 어쩌면 내일이라도 당장 제1 저자 또는 공동 저자 목록에 AI 이름이 오를지도 모를 일이다. 구글이 발표한 딥 리서치(Deep Research)가 제대로 된 능력을 발휘하고, 인간 연구자들로부터 인정을 받게 된다면 가능한 일이다.

구글이 제미나이 어드밴스드(Gemini Advanced)의 새로운 에이전트 기능인 ‘딥 리서치(Deep Research)를 선보였다. 딥 리서치는 ‘심층 연구 도우미’라는 이름처럼 연구자들을 보조하는 AI 모델이다. 연구 주제나 테마 선정→연구 계획 수립→수정 또는 승인→탐색 및 분석→결과 보고서에 이르는 전체 과정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웹에서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고 학습하며 심층적인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AI 연구 도우미인 ‘딥 리서치’는, 제미나이 어드밴스드 1.5 프로 기반에서 영어로 제공된다. (자료 : Google)


구글은 딥 리서치의 작동 과정에 대해 “몇 분 동안 제미나이는 사용자가 하는 방식으로 웹을 검색하고 흥미로운 정보를 찾은 다음,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새로운 검색을 시작하면서, 지속적으로 분석을 개선한다. 이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고, 완료되면 주요 결과에 대한 종합적인 보고서를 생성하여, 구글 문서로 내보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원본 소스에 대한 링크가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찾을 수 없었을 관련 웹사이트와 비즈니스 또는 조직으로 연결되므로 더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제미나이 모델의 고급 추론 기능 및 100만 개의 토큰 컨텍스트 창과 결합하여 유용하고 읽기 쉬운 인사이트를 담은 종합적인 보고서를 생성한다”고 전했다.

딥 리서치는 유료 서비스(한 달에 29,000원)인 제미나이 어드밴스드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연구 도우미 AI 모델이다. 연구 과정에서 필요한 전문적이고 깊이 있는 자료 수집과 분석, 이를 기반으로 한 보고서 작성, 많은 준비가 필요한 사업 계획이나 시장 및 전략 분석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생성형 AI 모델인 셈이다.

딥 리서치의 능력이 실제 검증을 통해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가치가 있다고 평가된다면 ‘깊이 있고 전문적인 자료’가 필요한 분야에서 누구에게나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획, 인사, 노무, 영업, 생산,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략 기획, 사업 기획, 시장 조사 등 다양한 목적으로 얼마든지 활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시장 점유율, 기술 트렌드, 소비자 동향, 경쟁사 현황 등 업무에 필요한 수많은 자료를 검색하고 수집하고 분류하고 취합하는 과정을, 똑똑하고 일머리 있는 누군가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다면 업무 효율이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좋아질 수 있다. 이미 생성형 AI를 누구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사람이라면 더욱 강력한 도우미가 출현한 셈이다.

딥 리서치를 사용하려면 제미나이 어드밴스드의 드롭다운 메뉴에서 ‘딥 리서치를 탑재한 제미나이 1.5 프로(Gemini 1.5 Pro with Deep Research)를 선택하면 된다. 다만, 현재는 데스크톱 및 모바일 웹에서 영어로만 사용이 가능하고, 모바일 앱은 2025년 초에 출시할 예정이다. 2025년 초에는 제미나이 2.0 기반의 딥 리서치를 공개할 예정이다.

Syndicated to WWW.CIOKOREA.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