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om 썸네일형 리스트형 100만 명 참석하는 일회용 웨비나…줌, 1만~100만 대규모 옵션 공개 100만 명의 사람이 모이거나 모으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오프라인은 말할 것도 없고 온라인의 경우도 많은 준비와 자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전 세계 각지에 흩어져 있는 100만 명의 사람들이 동시에 온라인으로 접속해 다양한 행사나 이벤트에 참여하는 것이 조만간 어렵지 않은 일이 될 전망이다.줌 비디오 커뮤니케이션(Zoom Video Communications)이 한 번에 최대 100만 명까지 참석할 수 있는 일회성 이벤트 옵션을 발표했다. 현재 500명, 1000명, 3000명, 1만 명, 1만 명 이상 단위로 웨비나를 개설할 수 있는 옵션에, 이 보다 많은 5만 명, 10만 명, 25만 명, 50만 명 그리고 100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일회성 웨비나 옵션을 추가한다.줌이 현재는 최대 1만 명까지.. 2024. 8. 22. 더보기 줌, ‘사무실 비대면 최소화’ 기능 추가...가상 접수, 실시간 회의실 인원 확인 등 끝난다 해도 끝나지 않을 수 있다. 언젠가 펜데믹 상황이 끝이 날 것이다. 하지만 뉴노멀과 비대면이라는 패러다임은, 끝이 아닌 진화의 길로 들어설 것이다. '출근'과 '재택'이 고민이 아닌 효율의 대상이 될 것이고, '사무실'과 '원격지'는 분할된 업무 공간으로 공존하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은 필수적인 업무 및 화상회의 솔루션은 펜데믹 종식과 함께 어떤 운명을 맞이할까? 만나고 모이고 얼굴 보는 대면의 시대로 돌아가면, 아무래도 비대면 시대를 주도하던 온라인 플랫폼이 뒤로 밀릴 수밖에 없다. 하지만 사람과 사람 간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 거리를 지키는 거리 두기는, 행정 명령이 아닌 암묵적인 약속 또는 지켜야 할 상식으로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 해결을 위한 시스템이 아닌 예방을 위.. 2021. 2. 8. 더보기 줌(Zoom), 종단간암호화 기능 제공...무료 및 유료 사용자에게 모두 무료 줌(Zoom)이 종단간암호화(E2EE;End-to-End Encryption) 지원을 통한 보안성 강화를 발표했다. 줌 사용자들은 2020년 10월 27일(한국 시각)부터 최신 버전의 데스크톱 클라이언트와 스마트폰 앱을 사용해, 전 세계 어디서나 무료 및 유료 사용자 구분 없이, 한층 강화된 종단간암호화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아이폰 버전은 애플 스토어 승인을 기다리는 중이라 좀 더 기다려야 한다. 줌은 앞으로 30일 동안 테크니컬 프리뷰 형태로 종단간암호화 기능을 제공하면서, 사용자들의 의견이나 문제점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다. 종단간암호화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줌 데스크톱 클라이언트 5.4(윈도, 맥, 리눅스)' 이상, '줌 모바일 앱 5.4(안드로이드, iOS)', '회의실용 중 룸(Z.. 2020. 10. 27.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