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Printing 썸네일형 리스트형 3D 프린터에서 색상, 음영, 질감 정밀 처리…MIT, 3D 인쇄 향상 열처리 반응 기술 개발 "3D 프린터를 다리미처럼 사용하면 단 하나의 재료를 사용하여 다양한 색상과 질감의 물체를 높은 정밀도로 제작할 수 있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활용하면 열 반응형 소재 하나로 여러 색상, 음영 및 질감을 가진 물체를 한 번에 제작할 수 있어서 속도가 빠르고 폐기물도 적다.”MIT와 델프트(Delft) 공과대학의 연구진이 기존의 3D 프린터와는 소재와 인쇄 방법이 다른 새로운 3D 프린팅 기술을 공개했다. 기존의 3D 프린팅은 여러 개의 노즐을 사용하며 소재에 따라 노즐을 전환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하나의 노즐로 소재를 인쇄한 후 열처리를 담당하는 노즐을 통해 색상이나 질감을 구현한다.속도 조절 다림질이라는 새로운 3D 프린팅 기술을 사용하면 다양한 색상, 질감, 음영을.. 2024. 10. 21. 더보기 MIT, '기계 학습 적용한 3D 프린팅 재료 최적화 기술' 개발 3D 프린터의 활용 범위가 갈수록 넓어지면서 용도에 맞는 프린팅 재료에 대한 수요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새로운 적용 분야에 3D 프린팅 기술을 접목하려면, 먼저 사용 목적에 최적화된 프린팅 재료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3D 프린터로 인쇄(제작)하려는 대상이 필요로 하는 질감(toughness)이나 압축 강도(compression strength) 등 고려해야 할 요소가 적지 않다. 하지만 새로운 프린팅 재료를 개발하는 이러한 과정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한다. 재료 성분 선정과 혼합 등의 개발 과정을 대부분 사람이 수행하기 때문에, 적지 않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이 과정에서 폐기되는 재료 후보 성분으로 인한 환경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을 간소화하고 효율적으로 .. 2021. 10. 19. 더보기 MIT 등 공동연구팀, 온도에 따라 모양 변하는 3D 프린팅 매쉬 기술 개발 일정한 온도에 도달하면 모양이 변하는, 3D 프린팅을 활용한 그물망(3-D printed mesh-like structures) 제작 기술이 개발됐다. MIT, 하버드 대학, 보스턴 대학 공동 연구팀은 평소에는 평평한 상태에 있던 그물망(mesh)이, 특정 온도에 도달하면 미리 기억 시켜 둔 사람 얼굴 모양으로 변하는 실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모양이 변하면 공진 주파수가 달라지는 전도성 액체 금속을 내장한 메시 구조의 안테나 설계도 가능하다고 전했다. 자유롭게 구부리거나 변형시켰던 금속이나 플라스틱이, 가열하거나 특정 온도에 도달하면 변형되기 이전으로 돌아오는, 원래의 형상을 기억하는 합금이나 플라스틱 등은 이미 오래전 상용화됐다. 이러한 형상 기억 합금이나 플라스틱은 설계 및 제조 시설을 갖춘.. 2019. 10. 4.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