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챗봇

‘고객 셀프 서비스 지원’으로 14%만 해결…가트너, 3가지 해결 방안으로 개선 고객이 존재하지 않는 기업은 존재하지 않는다. 고객이 왕은 아닐 수 있지만 돈줄인 것은 확실하다. 그래서 그들의 마음을 잃으면 돈도 잃는다. 그런데 자기 편하자고 고객 불편은 아랑곳하지 않는 기업이 적지 않다. 고객 지원이나 서비스를 자기 눈높이에서 축소 또는 확대하고, 고객 불편과 불만에 귀 막고 입 다물고 눈길조차 주지 않는 기업이 지천이다.가트너(Gartner)가 그런 기업들이 새겨 들어야 하는 설문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비효율적인 셀프서비스 솔루션으로 인해 좌절하는 고객’들이 그들이 짐작하는 것보다 훨씬 많다는 사실이다. 2023년 12월에 5,72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고, 고객들의 답변을 종합하면 ‘고객 스스로가 문제점을 찾아야 하는 셀프서비스 지원’은 아직 가야할 길이 멀다.고.. 2024. 8. 21. 더보기
“AI 상담원 도입하면 경쟁사로 옮길 수도”…가트너, 64%의 고객 AI 상담 원하지 않아 AI 도입과 활용에 대한 기업과 고객의 입장은 판이하다. 기업은 AI 도입과 안착을 통해 장비 빛이 실현될 것을 상상하지만, 고객은 그로 인해 생겨날 불편과 위험 때문에 거부하고 기피한다. 한 마디로 동상이몽이다. 실제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64%의 고객이 고객 서비스에 AI를 사용하지 않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가트너(Gartner)가 2023년 12월에 5,728명의 고객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2024 가트너 고객 설문 조사 현황(2024 Gartner state of the customer survey)'을 공개했다.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업의 고객 서비스 리더는 AI 도입을 원하지만, 고객은 고객 서비스에 AI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우려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024. 7. 11. 더보기
2030년까지 대화형 AI 산업 24.9% 성장…컴퓨터 비전 & 음성 인식 통합이 성장 주도 대화형 AI 시장 규모가 2024년 132억 달러에서 2030년 499억 달러로 증가하며, 24.9%(CAGR)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생성형 AI의 출현으로 촉발된 대화형 AI의 확산과 성장이 다양한 서비스에서의 챗봇 도입을 촉진하고, 컴퓨터 비전과 음성 인식 기술의 통합 증가가 성장을 이끄는 요인이다.마켓앤마켓(MarketsandMarkets)이 ‘2030년까지 대화형 AI 시장 글로벌 전망(Conversational AI Market - Global Forecast to 2030)’ 보고서를 발표했다. 대화형 AI 시장을 제공 형태(Offering), 업무 기능(Business Function), 통합 모드(Integration Mode), 대화형 에이전트 유형(Convers.. 2024. 5. 24. 더보기
'인바운드 고객 문의 20%가 기계 고객'...가트너, 무단 기술 사용에 대비해야 기계가 고객이 되는 시대가 본격적으로 도래하고 있다. 정확히 말하면 AI를 기반으로 한 챗봇이나 가상 비서가, 사람인 고객을 대신해서 문제점을 알리고 제품 정보를 수집하는 고객 서비스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가트너는 이를 기계 고객(machine customers)으로 정의하고, 2026년까지 인바운드 고객 서비스(inbound customer service)를 통한 연결의 20%가 기계 고객으로부터 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검색 엔진을 중심의 검색의 시대에서 인공 지능을 기반으로 한 답변의 시대로, 문제 해결의 접근과 방법이 혁명적이고 혁신적인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챗GPT(ChatGPT)의 등장은 불과 몇 달 만에 디지털 혁명의 영역과 방향을 순식간에 바꿔 놓을 만큼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코.. 2023. 3. 6. 더보기
구글 챗봇 AI '바드' 공개...순다 피차이, "구글 검색에서 곧 출시" "2년 전 우리는 대화 응용 프로그램용 언어 모델(LaMDA;Language Model for Dialogue Applications)에 의해 구동되는 차세대 언어 및 대화 기능을 공개했다. 우리는 '바드(Bard)'라고 부르는 람다(LaMDA) 기반의 실험적인 대화형 AI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그리고 오늘 몇 주 안에 대중에게 더 널리 바드를 제공하기 전에, 신뢰할 수 있는 테스터에게 공개한다." 구글과 알파벳의 CEO인 순다 피차이(Sundar Pichai)가 인공지능 챗봇인 바드의 출시 소식을 구글 블로그를 통해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람다 기반의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라고 소개한 바드는, 람다의 경량 모델 버전으로 초기 출시를 준비 중이다. 더 적은 컴퓨터 성능을 필요로 하는 경량 모델로 개발 .. 2023. 2. 7. 더보기
AWS, 챗봇을 위한 대화형 AI '아마존 렉스'에서 한국어 지원 AWS(Amazon Web Service)가 제공하는 대화형 챗봇 서비스인 아마존 렉스(Amazon Lex)가 한국어를 지원한다. 한국어 기반의 대화형 챗봇을 빠르고 간편하게 개발 및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아직은 서울 리전에서 제공하지 않고, 도쿄 리전에서 사용할 수 있다. AWS는 향후 서울 리전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챗봇은 '채팅 로봇'의 줄임말로 음성 및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대화 경험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장치, 웹브라우저, SNS나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등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다. 딥 러닝, 자연어 처리 등의 인공지능 기술과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TTS(Text To Speech) 기능 등으로 구성된다. 아마존.. 2021. 9. 14.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