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그비 얼라이언스(Zigbee Alliance)가 인터넷 프로토콜(IP) 기반 스마트 홈 네트워킹 기술 표준을 마련을 위한, '커넥티드 홈 IP(Connected Home over IP)’ 워킹 그룹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구글, 아마존, 애플 등이 참여하는 워킹 그룹은 로열티 없는 개방형 스마트 홈 연결 표준을 개발하게 된다. 이를 활용해 스마트 홈 장치와 모바일 앱 및 클라우드 서비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장치 인증을 위한 특정 IP 기반 네트워크 기술을 정의하는 것이 목표다.
커넥티드 홈 IP 프로젝트는 스마트 홈 기기는 안전하고 안정적이며 사용하기 쉬워야 한다는 공통의 의견을 바탕으로 구성됐다. 제조회사마다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이 부품 등에 대한 방법과 과정이 달라, 제조 업체 입장에서는 복잡한 제품 개발과 제조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렇게 생산된 제품이나 장치들을 상호 호환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고객 입장에서는 여러 가지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dLSoBb/btqAyxpXgbT/BQbhj3lCc79NoHxKDA4dok/img.png)
지그비 얼라이언스의 ‘커넥티드 홈 IP’ 워킹 그룹 프로젝트는 스마트 홈 장치와 모바일 앱 및 클라우드 서비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장치 인증을 위한 특정 IP 기반 네트워크 기술을 정의하는 것이 목표다. 아마존, 애플, 구글 등 다양한 지그비 얼라이언스 회원사가 프로젝트에 참여한다.(화면:지그비 얼라이언스)
하지만 지그비 얼라이언스의 프로젝트가 목표하는 성과를 달성하면,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공통적인 표준이 만들어지는 만큼, 제조 업체의 개발 프로세스는 단순해지고 고객 입장에서는 호환성 높은 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더욱 다양한 업체와 개발자들이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워킹 그룹 프로젝트는 오픈 소스 접근 방식을 취할 것이라고 지그비 얼라이언스는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구글, 아마존, 애플 등 시장에서 이미 검증된 스마트 홈 기술을 기반으로 첫걸음을 시작할 예정이다. 아마존 알렉사, 구글 어시스턴트, 애플 시리와 같은 스마트 홈 및 음성 서비스와 호환되는 장치를, 장치 제조 업체가 좀 더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이미 상용화되고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과 제품을 활용하면, 개발을 시간을 단축하고 제조업체와 소비자에게 더 빠른 혜택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워킹 그룹 프로젝트는 장치 인증을 위한 특정 IP 기반 네트워크 기술 세트를 정의할 예정이다. 호환 장치는 모든 기술을 지원할 필요는 없지만, 반드시 하나 이상의 기술을 지원해야 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최대 802.11ax (Wi-Fi 6)를 포함한 무선랜(Wi-Fi)인 802.11a / b / g / n / ac / ax지원이다. 또한 네트워크 및 물리적 무선 프로토콜을 위한 BLE(Bluetooth Low Energy) 버전 4.1, 4.2 및 5.0의 구현을 목표로 삼고 있다.
참고로 지그비 얼라이언스 개방형 사물인터넷(IoT) 기술 개발과 표준 마련을 위해 2002년 구성된 민간 협회로 다양한 회원사로 구성되어 있다. 지그비 얼라이언스 이사회 멤버는 아마존(Amazon), 애플(Apple), 구글(Google), 컴캐스트(Comcast)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이케아(IKEA)가 이사회에 합류했다. 이번 커넥티드 홈 IP 프로젝트에는 구글, 아마존, 애플 이외에도 이케아(IKEA), 삼성 스마트싱스(Samsung SmartThings), 슈나이더 일렉트릭(Schneider Electric) 등의 다수의 이사회 멤버가 참여한다.
⧉ Syndicated to WWW.CIOKOREA.COM
'🅝•NEWS•NOTICE > COMPAN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아태지역 8번째 GCP 서울 리전 개설...국내 접속지연 감소 기대 (0) | 2020.02.19 |
---|---|
"멀티 클라우드 강화된 최상의 리소스 제공"...구글, BI 플랫폼 '루커' 인수 완료 (0) | 2020.02.17 |
마이크로소프트, 듀얼 스크린 SDK와 윈도 10X 에뮬레이터 공개 (0) | 2020.01.28 |
“2019년은 중요한 전환점”...애플, 앱과 서비스 부문으로 새로운 10년 시작 (0) | 2020.01.10 |
유아이패스, 2020년 RPA 교육 프로그램 확대...2019년 아카데미 라이브 8회 실시 (0) | 2019.12.16 |
연간 329MW 규모 추가 전력생산...아마존, 3개의 새로운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발표 (0) | 2019.12.05 |
컴퓨팅, 연결, 경험으로 통하는 혁신...인텔, 2020 도쿄올림픽 첨단 기술 지원 (0) | 2019.09.16 |
세일즈포스,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디지털 커머스 부문 리더 4년 연속 선정 (0) | 2019.09.10 |